계절: 가을 (음력 7월)
날짜: 양력 8월 23일
속담: "모기가 처서를 지나면 입이 삐뚤어진다." 또는 "처서가 지나면 풀도 울며 돌아간다."
정의
처서(處暑)는 24절기 중 열네 번째로, 태양의 황경이 150도에 도달하는 시점으로 양력 8월 23일, 음력 7월 15일 무렵에 해당합니다. 여름의 끝자락에서 더위가 가시고 신선한 가을을 맞이하는 의미를 지닌 이 절기는, 여름의 더위가 물러간다는 뜻에서 붙여진 이름입니다.
내용
처서는 "땅에서는 귀뚜라미가 등에 업혀 오고, 하늘에서는 뭉게구름이 타고 온다."는 표현처럼, 여름이 가고 가을이 오는 것을 알리는 중요한 시기입니다. 『고려사』에 따르면, 처서의 15일간은 세 단계로 나뉘어 첫 5일 간은 매가 새를 잡아 제를 지내고, 둘째 5일 간은 천지에 가을 기운이 돌며, 마지막 5일 간은 곡식이 익어간다고 합니다.
처서를 지나면 햇볕이 따가움이 줄어들고, 풀이 더 이상 자라지 않아 논두렁의 풀을 깎거나 산소를 찾아 벌초하는 시기가 됩니다. 예전에는 여름 동안 젖은 옷이나 책을 음지에서 말리는 음건이나 햇볕에 말리는 포쇄를 이 시기에 했습니다.
이 시기에는 아침저녁으로 신선한 기운을 느낄 수 있으며, "처서가 지나면 모기도 입이 비뚤어진다."는 속담처럼, 서늘한 날씨 덕분에 여름철의 해충들이 사라지고 귀뚜라미가 하나둘씩 나타나기 시작합니다. 또한, 음력 7월 15일 백중의 호미씻이도 끝나는 시점으로, 농사철 중 비교적 한가한 때입니다. 이때를 가리켜 "어정 칠월 건들 팔월"이라고 하여, 여유로운 농사철을 재미있게 표현합니다.
처서 무렵의 날씨는 한 해 농사의 풍흉을 결정짓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비록 가을의 기운이 찾아왔지만, 여전히 강한 햇살과 맑은 날씨가 필요합니다. 처서 무렵은 벼의 이삭이 패는 시기로, 강한 햇살이 있어야만 벼가 성숙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처서에 장벼 패듯"이라는 속담은 이 시기의 벼가 얼마나 잘 성장하는지를 잘 보여줍니다.
농부들은 처서의 날씨에 큰 관심을 가지며, 이에 따른 다양한 농점도 존재합니다. 처서에 비가 오면 곡식이 줄어든다는 속담이 있듯이, 처서비는 농사에 좋지 않다고 여겨집니다. 처서비를 '처서비'라고 부르며, 이는 농사에 해가 되므로 많은 사람들이 이날 비가 오지 않기를 바랍니다.
이러한 관념은 전국적으로 확인되며, 경남 통영에서는 "처서에 비가 오면 십리 천석을 감고, 백로에 비가 오면 십리 백석을 감는다."고 말합니다. 전북 부안과 청산에서는 "처서날 비가 오면 큰 애기들이 울고 간다."고 하여, 처서 비가 대추 농사에 악영향을 미친다고 전해집니다.
'생활 정보부 수장'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 대학 수시 원서접수 기간 및 원서접수 방법, 원서접수 사진 정리 (0) | 2024.09.13 |
---|---|
"2024년 9월 모의고사 일정, 등급컷, 정답 총정리!" (0) | 2024.08.25 |
"한전ON으로 실시간 전기요금 쉽게 조회하기" (0) | 2024.08.22 |
"농협은행 영업시간 및 고객센터 안내" (0) | 2024.08.21 |
"C레벨의 세계: CEO, CFO, CTO의 역할과 중요성" (0) | 2024.08.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