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포르샤이야기

728x90
반응형

 

따끈따끈한 소식을 전하겠습니다. 국토교통부에서 계획해 둔 정책 중 하나로 원래는 올해 7월부터 시행하기로 했었는데

 

국토교통부 보도자료를 참고하니 - 기존 7월보다 앞당겨 5월 조기 시행 하기로 하였다고 한다.-

 

K -패스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자.


반응형

K-패스는 월 15회 이상 정기적으로 시내버스와 지하철과 같은 대중교통을 이용할 경우,

지출금액의 일정비율(일반인 20%, 청년층 30%, 저소득층 53%)을 다음 달에 돌려받을 수 있는 교통카드로,

 

현재 시행 중인 알뜰교통카드의 이용 불편은 개선하고 혜택은 확대한 사업이다.

국토교통부

 

참고로 K-패스는 기존의 알뜰교통카드처럼 이동거리에 비례하여 마일리지 환급, 출발과 도착 기록을 할 필요 없이

이동거리 관계없이 지출금액의 일정 비율 환급, 출발과 도착 기록 불필요!

 

 

캐시백 지금 기준은 월 15회 이상이며 원래는 월 21회 이상으로, 대중교통비 지출액의 정률(계층별 20~53%)

(월 15회 이상 이용 시 최대 60회까지)

 K-패스 환급 혜택

환급 혜택은 계층 별로 나뉘는데 일반은 20%, 청년 30%, 저소득 53%이다.

 

예시를 들어보자. 1500원을 기준으로 할 때 일반은 300원, 청년은 450원, 저소득은 800원 환급이다.

K-패스 적용수단 및 범위는 시내버스 · 지하철 ·광역버스 ·민자철도(신분당선 등) 등

 

교통카드 기반 대중교통수단 적용으로 특정 지역이 아닌 전국 단위 호환이다*.

 

* 서울지역 가입자가 서울 외 다른 지역에서 대중교통 이용 시에도 혜택 적용 가능.

국토교통부

 

 

현재 알뜰교통카드를 사용하고 있는 이용자는  K-패스 회원 전환 절차를 받으면 별도의 카드 재발급 없이

기존에 사용 중인 카드로  K-패스 혜택을 받을 수 있다.

 

* 알뜰교통카드 어플을 통해 이용약관 및 회원전환 등 동의 절차 진행(2월부터 세부 안내 예정)

 

★ 신규 이용자는 5월부터  K-패스 공식 누리집(korea-pass.kr)이나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또는 11개 카드사*의 누리집을 통해 원하는 교통카드 상품을 골라  K-패스를 이용할 수 있다.

 

* 하나, 신한, 국민, 현대, 티머니, 삼성, BC, 이동의 즐거움, DGB유페이, NH농협 등

국토교통부

일반 시내버스나 지하철 외에도 GTX-A, 광역버스 등 고비용수단*을 이용하는 경우에도  K-패스 혜택을 제공한다.

장거리 출·근에 따른 이용자 부담을 대폭 완화할 예정이다.

 

* 1회당 환급 상한금액은 사업 시행 전까지 검토 후 별도 안내 예정.

국토교통부 바로가기


K-패스 참여 · 미참여 지역

 

K-패스에 참여하는 지역은 현재 176개 지자체에서 189개 지자체*로 확대할 계획이다. ('24.5월~)

* 추가 지자체 : 동해, 삼척, 횡성, 태백, 음성, 영월, 보은, 영도의 진천, 증평, 괴산, 장성, 단양

 

인구수가 10만 명 이하인 일부 지차체는 K-패스에 참여하지 않는다.

 

국토교통부

 

2024년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운영 계획 및 기출문제 정리

안녕하세요, 포르샤입니다. 오늘 포스팅할 주제는 2024년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운영 계획 및 기출문제 정리인데요. 2024년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운영 계획 알아보기 한국사능력검정 시험이란? - 국

porshadaily.tistory.com

 

 

 

 

728x90
반응형

이 글을 공유합시다

facebook twitter kakaoTalk kakaostory naver band